직장인 개발자의 학점은행제 수강 및 등록 후기
대학원 진학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컴퓨터공학 전공수업 학점은행제를 수강했던 과정을 공유합니다.
시작하며
이전 글에서 대학원 준비를 위해 학점은행제 수업을 수강신청 했다는 내용을 공유했다. 이번 글에서는 성적과 이후 학점을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우선 성적부터 시원하게 공개하고 넘어가겠다.

회사 다니면서 나름 열심히 수업을 들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는 맥북으로는 시험을 볼 수 없어서 급하게 친구한테 윈도우 랩탑을 빌려서 시험을 보기도 했다. 혹시 해당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싶다면 무조건 윈도우 OS
가 탑재된 데스크탑이나 랩탑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주고 싶다. AWS EC2 서버를 켜서 원격으로 접속도 해봤는데 해당 페이지 보안프로그램에 mac 주소를 잡아서 소용이 없었다.
학점 등록하는 방법
나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수업을 들었지만 학점등록은 학점은행제 홈페이지에서 신청해야 했다.

해당 사이트에서 학점인정 신청
으로 들어오면 아래 사진처럼 신청할 수 있는 학점이 보인다.

등록하기 전에는 몰랐는데 알고 보니 학점을 등록하는 것도 돈을 지불해야 했다. 한 수업 당 4,000원 비용이 부과된다. 나의 경우 총 4개의 강의를 신청해야 했기에 12,000원을 결제했다.

결제를 완료하면 카톡으로 신청이 완료되었다는 안내가 온다. 이렇게 학점 등록까지 완료해야 진짜 컴퓨터공학 학점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2024년 하반기에 진행했던 한 챕터를 마무리 하였다. 사실 16주차를 매번 수업 8개씩 듣는 건 쉽지 않았다. 한 수업 당 2~3시간씩 소요되는데 토요일 4개, 일요일 4개 들으면 주말이 사라졌다. 비록 직장을 다니다보니 최선을 다하지는 못했지만 나름 노력했는데 괜찮은 성적을 받게 되어 만족스럽다. 앞으로도 계속 노력하자.
이후 계획들
내가 속한 업계가 격변의 순간에 직면해 있다보니 요즘 더 고민이 많다. 빠르게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회사에서는 도전해볼 수 있는 과업들도 계속 눈에 밟힌다.그래서 이번 년도에 계획했던 대학원 진학을 내년으로 미뤄둘까 한다. 업계에 속해 있을 때 최대한 경험할 수 있는 것들을 누리고 내 자산으로 만들어보고 싶다.
일단 2025년 상반기에는 Coursera 강의
를 들으면서 지금 배우고 싶은 것들을 배우고자 한다.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교육비로 1년 등록을 해두었기 때문에 영어 공부할 겸, 실무에 필요한 기술도 공부할 겸, 겸사겸사이다. 공부하는 내용들은 블로그에 꾸준히 기록하고자 한다. 영어 블로그도 오픈했기에 이것도 열심히 운영해볼 계획이다. 2025년, 열심히 살아보자.